프로토타입 쾰른(Prototype Koln) 전시회 핀란드 헬싱키 시내 젊은이들로 항상 북적거리는 거리 Iso Robertinkatu의 한 평범한 건물이 젊은 디자이너들로 가득 찼다. 학교를 다니며 혹은 작업실에서 작업을 하며 구석에 하나 둘씩 쌓여만 가던, 실험작이라고 하기에는 아깝고, 가게에서 실제로 값을 붙여 팔기에는 어딘가 부족했던 프.. 착한디자인 2013.11.26
덴마크 내셔널 마리타임 뮤지엄(Danish National Maritime Museum) 2006년 스튜디오 설립이후 단시간 만에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된 BIG(Bjarke Ingels Group)은 매우 합리적이고 예리하면서도 유머러스한 디자인으로 유명한 덴마크의 건축 사무소이다. BIG을 설립한 비야케 잉엘스(Bjarke Ingels)는 1974년 덴마크 코펜하겐 태생으로 덴마크 왕립 아카데미에서 수학하.. 착한디자인 2013.11.13
덴마크의 그래피 와인 숍(Grapy Wine Shop) 와인병의 그래픽을 멋지게 디자인하고 고급스럽게 진열하여 판매할 수 있는 와인숍을 만드는 일은 매력적이고 흥미롭기까지 하다. 와인병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진열하는 방법, 쇼핑을 즐겁고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 소비자들이 와인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는 방법 등 모든 .. 착한디자인 2013.11.06
오를레앙 바브리(Aurelien Barbry) 제품 디자이너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활동하는 프랑스 디자이너 오를레앙 바브리는 1997년 파리의 에꼴 드 카몬도(Ecole De Camondo)를 졸업한 후 7년간 세계적인 건축 거장 장 누벨(Jean Nouvel)의 건축사무소에서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많은 디자인 역량을 키웠다. 그 후 개인 스튜디오를 열어 알레시(Alessi.. 착한디자인 2013.11.04
덴마크 리노베이션 어워드(Denmark Renovation Awards) 2013년 덴마크 건축 센터 DAC(Denish Architecture Center)에서는 2013년 덴마크 리노베이션 어워드를 시상하였다. 유럽의 경우 도시는 이미 예전에 완성되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건축시장의 절반 이상이 리노베이션(Renovation) 시장이다. 그리고 리노베이션은 사실 신축보다도 더 어려운 경우.. 착한디자인 2013.10.29
일바(Ilva)의 가구 디자인 북유럽에는 많은 유명한 가구 브랜드들이 있지만 세계적으로 이름이 알려진 브랜드들의 경우 대개 상위 고급 시장을 지향한 제품들이 많다. 이는 물론 이들 가구 브랜드들이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을 대표하는 디자이너들에 의해 만들어진 디자인 가구들이고, 그 품질과 디자인에 걸 맞는 .. 착한디자인 2013.10.28
보컨셉(Boconcept)의 가구 디자인 스웨덴에 이케아(IKEA)가 있다면 덴마크에는 바로 보컨셉가 있다. 보컨셉은 1952년 탄생한 토털 인테리어 회사 클럽8 컴퍼니(Club8 Company)의 글로벌 인테리어 브랜드이다. 스칸디나비아 가구 스타일과 인테리어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그 위에 여러 가지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도록 소비자에게 .. 착한디자인 2013.10.02
도르테 만드럽(Dorte Mandrup) 건축 디자이너 덴마크는 공공 디자인과 사회적인 복지시설의 규모를 생각하면 아이들을 위한 천국이 아닐까 생각한다. 도르테 만드럽은 산을 연상케 하는 아름다운 건축물을 디자인하였다. 모든 실내 공간이 시각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동적인 동선들과의 조화도 잘 되어 있다. 이곳은 아이들을 위한 .. 착한디자인 2013.10.01
슈미트 해머 라센 아키텍츠(Schmidt Hammer Lassen Architects) 북유럽의 전형적인 리노베이션 디자인 사례를 소개한다. 그리 대단한 역사가 아니더라도 그 지역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공간을 그대로 드러내어 그 건물이 그동안 겪었던 인생사를 고스란히 노출시키며 동시에 현재 당면과제인 지역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공간으로 재해석하는 사례이다.. 착한디자인 2013.10.01
덴마크 폴리티큰(Politiken)의 페이퍼 디자인 신문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물론 정확한 진실을 전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정확하고 공정한 내용뿐만 아니라 그 내용을 어떤 형식으로 독자들에게 전달하는가 하는 것도 그 내용만큼 중요하다. 독자들이 어떤 것이 중요한 뉴스인지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뉴스의 내용을 빨리 정확하.. 착한디자인 2013.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