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시초코렛 HUHSI chocolate

2차세계대전_歷史

태평양 전쟁

chocohuh 2013. 2. 12. 12:10

중국에서 아무 소득도 없이 오랫동안 계속된 전쟁에 싫증난 일본은 유럽의 상황을 이용하여 동아시아에 있는 유럽 식민지를 강탈하기로 결심했다.

 

네덜란드령 동인도(지금의 인도네시아)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및 영국이 차지하고 있는 말레이 반도에는 일본의 산업 경제에 필요한 원료(주석·고무·석유)가 있었다. 일본이 이 지역을 빼앗아 일본 제국에 병합할 수 있다면 사실상 경제 자립을 이룩할 수 있고, 그리하여 태평양의 지배세력이 될 수 있었다.

 

1940년말까지 일본 전략가들은 새로운 전쟁이 일어나도 일본이 상대할 적은 하나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1941년이 되자, 영국·네덜란드·미국도 태평양 지역에서 일본의 침략 행위를 용납하지 않으리라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그래서 연합 함대 사령장관인 야마모토 이소로쿠[山本五十六]를 주축으로 한 일본 전략가들은 대담한 전쟁 계획을 새로 세웠다. 일본은 태평양 확전(擴戰)의 주된 상대국으로 예측한 미국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1941127~8일에 하와이 진주만과 필리핀에 있는 미국의 군사시설을 공격했다.

 

야마모토의 계획에 따라 일본의 항공모함 기동 타격대는 미국 정찰대에 포착되지 않은 채 하와이 북쪽 440km 지점에 이르렀다. 1941127일 일요일 이 항공모함에서 급강하 폭격기와 뇌격기(雷擊機) 및 약간의 전투기로 이루어진 360여 대의 항공기가 새벽 공기를 뚫고 2패로 나뉘어 날아올랐다.

 

이 항공기들은 진주만에 있는 거대한 미국 해군 기지로 기수를 돌렸다. 당시 이 기지에는 미국 전투함 70척과 보조함정 24척 및 300여 대의 항공기가 있었다. 미국인들은 완전히 기습당했고, 정박중이던 전함 8척이 모두 공격받았다(그러나 이 가운데 6척은 수리되어 다시 해군에서 활약했음). 순양함 3척과 구축함 3, 기뢰 부설함 1척을 비롯한 수많은 함정이 파손되었고, 180대가 넘는 항공기가 파괴되었으며 나머지도 손상되었다. 2,000명이 넘는 장병이 죽었고, 부상자도 1,000명이 넘었다. 그러나 일본의 공격은 1가지 중요한 점에서 실패했다.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했을 당시 태평양 함대의 항공모함 3척은 바다에 나가 있어서 피해를 면했고, 이 항공모함들은 그후 미국 해군의 초기 태평양 방위체제에서 핵심이 되었다.

 

진주만 해안에 있는 군사시설과 유류 저장 설비도 피해를 면했다. 일본이 예고 없이 감행한 진주만 기습공격은 미국국민을 단결시켰고, 미국이 전쟁에서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을 말끔히 없앴다. 128일 미국의회는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다. 이에 반대한 의원은 단 1명뿐이었다.

 

진주만을 공격한 바로 그날, 타이완[臺灣]에 기지를 둔 일본 폭격기들은 필리핀에 있는 클라크 군용비행장과 이바 군용 비행장을 공격했다(현지 시각으로는 128). 미국 극동군이 보유하고 있던 항공기의 50이상이 파괴되었다. 2일 뒤, 일본은 다시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미국 전투기를 더 많이 파괴했을 뿐만 아니라, 역시 필리핀에 있는 카비테 해군기지도 파괴했다. 그러나 미국 아시아 함대의 일부는 11월에 이미 남쪽으로 내려갔고, 살아남은 주요함정과 폭격기는 보호해 줄 전투기가 없어서 공격당할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그후 2주간 더 남쪽에 있는 안전한 기지로 철수했다. 필리핀에는 지상군 이외에 전투기 몇 대와 잠수함 30여 척, 그리고 몇 척의 소형 선박이 필리핀을 방어하기 위해 남았다.

 

마닐라는 194212일 일본군에 함락되었지만, 그때 이미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휘하의 미군과 필리핀군은 바타안 반도(작은 만을 사이에 두고 마닐라와 마주보고 있는 반도)와 코레히도르 섬(마닐라 만에 있는 섬)을 지킬 태세를 갖추었다. 이들은 처음에는 바타안 반도에 대한 일본군의 공격을 저지했지만, 일본은 그후 8주간 계속 병력을 증강했다.

 

맥아더는 311일 오스트레일리아로 전속 명령을 받고 떠나면서, 바타안 방어를 조너선 M. 웨인라이트 중장에게 맡겼다. 웨인라이트 중장과 그의 부하들은 49일에 항복했다. 코레히도르 섬은 55~6일 밤에 함락되었다. 그리고 필리핀 남부는 3일 뒤에 항복했다. 정확한 사상자 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양쪽의 전사자는 각각 5,000명 정도에 불과했을 것이다.

 

일본 폭격기들은 1941128일에 이미 홍콩에 있는 영국 공군력을 파괴했고, 영국과 캐나다 수비대는 크리스마스에 광둥 반도[廣東半島]에서 건너온 일본 지상군의 공격을 받고 항복했다. 일본군은 남쪽의 말레이 반도로 진격하는 동안 측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129일에 방콕을 점령했고 1216일에는 미얀마(버마) 남쪽 끝에 있는 빅토리아 곶을 점령했다.

 

128일부터 일본군은 여느 때처럼 공습과 함께 말레이 반도에 상륙하여, 소규모의 오스트레일리아군과 인도군을 압도했다. 영국 전함 프린스 오브 웨일스 호와 순양함 리펄스호는 일본군의 병참선을 차단하기 위해 싱가포르를 떠났지만, 1210일 일본군 항공기의 공격을 받고 침몰했다. 19421월말 일본군 2개 사단은 공군과 기갑부대의 지원을 얻어 싱가포르 섬을 제외한 말레이 반도 전체를 점령했다.

 

일본은 순식간에 필리핀을 점령했고, 동남아시아와 미얀마의 대부분 지역, 네덜란드령 동인도와 태평양의 많은 섬들을 점령했다. 1942225일 일본군에 점령되지 않은 곳은 자바 섬뿐이었다. 연합군은 자바 섬을 침략하는 일본 함대를 차단하려고 필사적으로 애썼지만, 227일 자바 해에서 벌어진 7시간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말았다. 연합군은 전함 5척을 잃었고, 일본군은 구축함 1척만 약간의 손상을 입었을 뿐이었다. 39일 자바 섬에 주둔해 있던 연합군 2만 명이 항복했다. 그 직후 태평양 지역에는 미국 합동참모본부의 전략 지시를 받는 미국·영국 통합 참모부가 설치되었다.

 

맥아더는 남서태평양 지역의 최고사령관이 되었다. 그의 주요임무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을 잇는 병참선을 지키고, 일본군을 태평양 안에 가두어놓고, 북아메리카 방위를 지원하고, 육해공군 합동 작전에 따른 대규모 반격을 준비하는 것이었다. 일본의 당초 계획은 자바 섬 점령으로 실현되었지만, 미국 태평양 함대는 194221일에 마셜 제도를 공격했고 223일에는 웨이크 제도를 공격했으며, 31일에는 마커스 섬을 공격했다. 이와 함께 223일에는 라바울을 폭격했고, 오스트레일리아에 기지를 세워 남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병참선을 확립했다. 그러자 일본은 계획을 확대하여, 오스트레일리아까지 이어진 연합군의 병참선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

 

일본인들은 누벨칼레도니, 피지 제도 및 사모아 섬을 점령할 계획을 세웠고, 뉴기니 동부도 차지하여 포트모르즈비에 비행기지를 만들면 오스트레일리아를 위협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다. 또한 일본은 북태평양의 미드웨이 섬을 점령하고 알류샨 열도에 비행기지를 만들 계획도 세웠다.

 

1942418일에 미군 폭격기 16대가 도쿄[東京]를 공격했다. 이 공습은 일본정부의 위신을 떨어뜨렸을 뿐 진정한 피해를 주지는 못했지만, 연합군의 사기는 크게 올라갔다.

 

57일 일본 항공모함에서 발진한 전투기들이 미군 구축함 1척과 유조선 1척을 격침했다. 그러나 미군 전투기들도 일본군의 소형 항공모함 쇼호호와 순양함 1척을 침몰시켰다. 이튿날 일본 전투기들은 미국 항공모함 렉싱턴호를 격침하고 항공모함 요크타운호에 손상을 주었지만, 일본군의 대형 항공모함 쇼카쿠호는 심한 손상을 입고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일본군은 전투에서 너무 많은 항공기를 잃었기 때문에 포트모르즈비 점령계획을 포기해야 했다.

 

미드웨이 해전은 아마 태평양 전쟁의 전환점이었을 것이다. 일본군은 싸움에 결말을 내기 위해 대형 항공모함 4척과 소형 항공모함 3, 수상비행기를 탑재한 항공모함 2, 전함 11, 순양함 15, 구축함 44, 잠수함 15, 그리고 잡다한 소형 함정들을 집결시켰다. 미국 태평양함대는 대형 항공모함 3척과 순양함 8, 구축함 18, 잠수함 19척만 갖고 있었지만, 함대를 지원해줄 항공기를 115대가량 보유하고 있었다.

 

63일 미드웨이 섬을 점령하기 위해 출발한 일본 전함들이 목표 지점에서 800km 떨어진 곳에 이르자, 미국 폭격기들이 이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그래도 일본군은 64일 새벽에 항공기를 보내어 미드웨이 섬을 공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후에 벌어진 전투에서 미군은 일본의 대형 항공모함 4척을 모두 격침하고, 대형 순양함도 1척 침몰시켰다. 64~5일 밤에 일본군은 후퇴하기 시작했다. 그 전에 이미 손상을 입었던 미국 항공모함 요크타운호는 66일에 어뢰를 맞고 침몰했지만, 미드웨이 섬은 안전했다.

 

일본은 미드웨이에서 가장 중요한 항공모함과 가장 우수한 해군 조종사를 거의 다 잃어버렸다. 이것이야말로 연합국이 미드웨이에서 거둔 승리의 중요한 측면이었다. 그후 일본과 연합국의 해군력은 사실상 대등해졌다. 일본은 전략의 주도권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누벨칼레도니와 피지 제도 및 사모아 섬의 침략 계획을 취소했다.

 

일본이 서방 연합국에 대항하여 전쟁에 참여한 것은 중국에 영향을 주었다. 1941129일 장제스[蔣介石] 정부는 정식으로 일본에 선전포고했을 뿐만 아니라(이는 오래 지체시킨 형식적 절차에 불과했음), 독일과 이탈리아에게도 했다. 이것은 군사적 의도보다는 정치적 의도가 담긴 선전포고였다. 이어서 중국의 3개 야전군은 미얀마 국경으로 몰려갔다.

 

미얀마 공로(公路)는 서방 연합국이 중국에 보급품을 보낼 수 있는 유일한 육로였기 때문이다. 194213일 장제스는 중국 전투 지역의 연합군 최고 사령관으로 인정되었다. 미국의 조지프 W. 스틸웰 장군이 장제스의 참모장으로 파견되었다. 장제스와 스틸웰은 일본군의 미얀마 진격을 저지하는 일에 몰두했다.

 

 

'2차세계대전_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평양 전선에서의 연합국 승리  (0) 2013.02.12
중반기  (0) 2013.02.12
독일의 소련 침공  (0) 2013.02.12
영국과 독일의 전략  (0) 2013.02.12
미국의 세계대전 가담  (0) 201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