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잡지를 읽는데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광고만 읽는 사람도 있고, 서평만 읽는 사람도 있으며, 레이아웃만 보는 사람도 있다. 최신 정보 칼럼을 골라서 읽는 사람도 있고, 핀업(역주:벽에 붙이는 육감적인 미인의 사진)만 전문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나는 한때 미국판 <플레이보이>지의 인생 상담 코너만 읽었다. 나라가 넓어서 그런지 참으로 여러 가지 고민이나 질문이 실려 있어서 재미가 있었다. 비슷한 고민이라도 동양인과는 약간 보는 관점이 달랐다.
그러나 뭐니뭐니해도 잡지를 읽는 즐거움 중 하나는 뛰어난 단편소설과 만나는 일이다. 신간의 목차에서 마음에 드는 작가의 이름을 발견하게 되면 기쁘다. 뿐만 아니라 들어 본 적도 없는 작가의 소설을 읽어 보았는데, 정말로 재미있었던 경우도 있다. 분명히 미국에서도 최근의 소설 특히 단편은 흉작이어서 예전처럼 <에스콰이어>지나 <플레이보이>지의 새로운 호를 손에 넣을 때마다 가슴을 설레는 일은 완전히 없어졌지만, 그래도(이런 말을 하는 것은 좀 뭣하지만) 일본의 잡지를 읽을 때보다는 재미있는 소설이 많이 걸려든다.
최근에는 <뉴요커>지에 실린 레이먼드 카버의 <내가 전화를 걸고 있는 장소>와 도널드 바세르미의 <벼락>이란 두 작품을 권하고 싶다. 레이먼드 카버의 소설은 언제나 그런 것처럼, 홀딱 반할만한 좋은 단편이다.
<벼락>은 <포크스>라고 하는 잡지(물론 피플지의 패러디)를 위해서 '벼락을 맞고서도 살아남은 사람'의 인터뷰를 모으는 자유기고가의 이야기로서, 특별한 내용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착상과 문장만으로 독자들을 끌고 나간다. 최후의 마무리도 자못 바세르미답게 감칠맛이 있다. 이러한 작품은 단편집 속의 한 편으로 읽는 것보다는 잡지에서 독립된 작품으로 읽는 편이 더 좋은 것 같다. 나는 앨러리 퀸 식으로 '독자에 대한 도전'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처음부터 밑천을 모두 드러내 보이고 어디까지 독자를 끌고 갈 수 있는가 하는 테크닉을 보여 주는 쇼케이스다.
<내가 전화를 걸고 있는 장소>는 그것과는 달리 과장이 없는 담담한 문체의 소설이다. 그러나 카버의 문장은 한 순간이라도 멈춰 서지 않고 앞으로 진해 나간다. 알코올 중독으로 요양소에 들어가 있는 주인공이 같은 이유로 요양소에 들어온 청년과 마음을 서로 주고받는다는 이야기지만, 어두운 소재치고는 비극적으로 흐르지 않아서 좋다. 쉽게 읽을 수 있고, 더구나 읽고 난 뒤에 마음에 무엇인가가 남는다. 뛰어난 단편이란 그런 것이다.
'무라카미하루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의 엉터리 자막 이야기 (0) | 2022.11.28 |
---|---|
신문이 끼어들 틈이 없다 (0) | 2022.11.22 |
원고 마감일을 어길 수 없는 이유 (0) | 2022.11.08 |
상당히 흥미로운 병, 헤르페스 (0) | 2022.11.04 |
도쿄 디즈니랜드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