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하고 2년째쯤 되었을 때의 일인데, 나는 반년 정도 '주부(하우스 허즈번드)' 노릇을 했던 적이 있다. 그때는 이렇다 할 일도 없이 극히 평범하게 하루하루를 보냈었지만, 지금에 와서 생각해 보면 그 반년이 내 인생에서 가장 멋진 한 페이지였던 것 같다.
하긴 그 당시에는 특별한 '주부' 노릇을 하려고 했던 건 아니고, 우연찮게 사소한 인연으로 아내가 일하러 나가고 나는 집에 남게 된 것이다. 이럭저럭 벌써 12-13년 전 얘기로, 존 레논이 '주부'가 되어 화제를 불러일으키기 전이다.
'주부'의 일상은 '주부(하우스 와이프)'의 일상과 마찬가지로 평온하다. 우선 아침 일곱 시에 일어나 아침밥을 짓고, 아내를 출근시킨 뒤 뒷정리를 한다. 싱크대 속에 있는 그릇들은 곧바로 닦아야 하는 것이 가사의 철칙 중의 하나다. 그러고 나서 다른 사람들 같으면 신문을 읽거나 텔레비전을 보거나 라디오를 듣거나 하겠지만, 나는 그런 일을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당시 우리는 무형 문화재처럼 가난해서 라디오도 텔레비전도 살 수 없었고, 신문을 구독할 돈마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집 안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돈이 없으면 생활이란 놀랄 만큼 심플해진다. 세상에는 '심플 라이프'란 브랜드도 있는데 '심플 라이프'에 관해서라면 내 쪽이 훨씬 많이 알고 있을 것이다.
아침 설거지가 끝나면 빨래를 한다. 빨래를 한다 해도 세탁기가 없으니까 목욕탕에서 발로 꾹꾹 밟아 빠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시간은 걸려도 꽤 좋은 운동이 된다. 그리고 빨래를 넌다.
빨래가 끝나면 시장을 보러 간다. 시장을 본다고는 해도 냉장고가 없으니까(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너무 가난하구나) 필요 이상으로 많이 살 수는 없다. 그날 쓸 것만을 여분이 생기지 않도록 사는 것이다. 그러니 그날 저녁 반찬이 무된장국과 무조림과 잔멸치를 섞은 무즙이 되는 상황도 심심찮은 빈도로 연출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생활을 '심플 라이프'라 부르지 않는다면 달리 무엇이라 불러야 좋겠는가?
시장을 보는 김에 '고쿠분지 서점'에 들러 책을 사거나 값싼 헌책을 사기도 한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 간단히 점심을 먹고 다림질을 하고는 대충 청소를 하고(나는 청소하는 걸 싫어해서 그다지 꼼꼼하게는 하지 않는다) 저녁때까지 툇마루에 앉아 고양이와 놀거나 책을 읽거나 하면서 느긋하게 지낸다. 무엇보다 한가했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에만도 <소년 소녀 세계 명작 전집>을 독파했고, <싸락눈> 같은 소설은 세 번이나 읽었다.
사방이 어둑어둑해지면 슬슬 저녁 준비를 한다. 쌀을 씻어 밥을 안치고, 된장국을 끓이고, 조림을 만들고, 생선 구울 준비를 한 뒤 아내가 퇴근하기를 기다린다. 아내는 대략 일곱 시 전에 돌아오지만 이따금 야근을 하느라 늦어지는 날도 있다. 그러나-새삼스럽게 말할 필요도 없지만 우리 집에는 전화가 없으므로-연락을 할 수도 없다. 그러니까 나는 생선을 석쇠 위에 올려놓은 채로 마누라를, "..." 하는 식으로 그저 가만히 기다리는 것이다.
"..." 이란 건 일상적으로 경험해 보지 않은 사람은 아마 잘 이해가 안 가겠지만, 매우 미묘한 종류의 감흥이다.
'오늘은 늦어질 모양이니까 먼저 밥을 먹어 버릴까?' 하고 생각하다가도, '뭐 모처럼인데 좀 더 기다려 볼까' 하고 생각하다가, '그렇지만 배가 고픈 걸' 하는 식이다. 이런 저런 생각들이 집약되어, "..." 이라는 침묵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 미안해요. 저녁 먹고 왔어요." 하는 소리를 들으면 역시 화가 난다.
그리고 이건 기묘하다면 기묘하고, 그렇지 않다고 하면 그다지 기묘한 얘기가 아닌지도 모르겠지만, 자기가 만든 요리를 식탁에 늘어놓다 보면 아무래도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았거나 모양이 뭉그러진 걸 내 접시에 얹게 된다. 생선이라면 머리 쪽은 상대방 접시에 올리고, 나는 꽁지 쪽을 먹는다. 이런 행동은 딱히 내가 자신을 주부로서 비하시켜서가 아니라, 그저 단순하게 상대방을 조금이라도 기쁘게 해주고 싶다는 요리사의 습성에서 비롯되는 거라고 나는 해석한다.
그러고 보면 세상에서 일반적으로 '주부적'이라고 여겨지고 있는 속성 중에서 대다수는 결코 '여성적'이라는 것과 같은 의미는 아닌 것 같다. 즉 여자가 나이를 먹는 과정에서 지극히 자연스럽게 주부적인 속성을 익혀 나가는 게 아니라, 그것은 단지 '주부'라는 역할에서 생겨나는 경향, 성향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러니까 남자가 주부의 역할을 이어받으면 그 사람은 당연히 많든 적든 간에 '주부적'으로 되어 갈 것이다.
나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말하자면, 세상의 남자들은 일생 중 적어도 반년이나 1년 정도는 '주부' 역할을 해보아야만 하지 않을까 한다. 그래서 단기간이나마 주부적인 성향을 몸에 익히고, 주부적인 눈으로 세계를 바라보아야만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렇게 하면 현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통념의 대부분이 얼마나 불확실한 기반 위에 성립되어 있는지를 잘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나도 그럴 수만 있다면 다시 한 번 유유히 마음껏 주부 생활을 누려 보고 싶은데, 마누라가 도무지 일을 하러 나가 주지 않으니 그러지도 못하고 난감할 뿐이다.
'무라카미하루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맥주가 좋다 (0) | 2020.10.20 |
---|---|
왜 섹스는 재미없게 되어 버렸을까? (0) | 2020.10.14 |
토끼정 주인 (0) | 2020.09.16 |
찰스턴의 유령 (0) | 2020.09.07 |
고양이의 죽음을 애통해 하며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