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오토바이의 명가 두가티는 오토바이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잘 아는 브랜드 일 것이다. 오토바이에 있어서의 페라리(Ferrari)라는 칭호를 받는 두가티는 성능은 물론 디자인에 있어서도 소비자들에 있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탈리아 모토 전문지에서 선정한 두가티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모델 Top10을 선정해 이것을 소개하려고 한다. 1926년 엔지니어인 안토니오 카발리에리 두가티(Antonio Cavalieri Ducati)에 의해 설립된 이후 독자적인 기술 개발과 이탈리아 기계공학의 발달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면서 현재는 세계 최고의 오토바이 명가로 자리 잡으며 오토바이 브랜드에 있어서 명품이라는 칭호를 받고 있다.
오늘 날까지 무수히 많은 모델을 선보인 두가티는 오토바이 마니아들이 선정한 두가티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모델 Top10을 보며 두가티의 디자인 변천사를 보는 것도 재미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Desmo 125 GP
1956년에 처음 출시된 Desmo 125 GP는 새롭게 개발된 이탈리아 기술로 만들어진 신개념 엔진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어 당시 많은 화제와 이탈리아의 기계공학 기술을 전 세계에 알리는 좋은 예가 되었다.
Ducati Apollo 1260
이 모델은 Desmo 125 GP의 발전된 모델로 미국시장을 겨냥해 만들어 졌음은 물론 두가티 회사에 있어 역사상 아주 중요한 모델로 손꼽히고 있다.
750 GT
1970년대 2행정 엔진을 장착해 기능성에서 우수성이 인정된 모델로 당시 두가티사의 핵심 제품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
Ducati Scrambler
1970년대에 두가티 모델 중 가장 많이 팔린 제품으로 기존의 배기량이 큰 엔진과 달리 250, 350, 450cc 등을 선보여 두가티의 대중화를 이룬 제품이다.
Ducati 750 SS
1974년 두가티에서 생산된 제품 중 단일 모델로는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제품인 Ducati 750 Super Sport는 이후 1975년 900 SS, 1977년 La Darmah, 1982년 900 S2까지 그 맥락을 이어 갔다.
Pantah 500
1979년에 출시된 Pantah 500은 파비오 태그리오니(Fabio Taglioni)에 의해 디자인 된 제품으로 공냉식의 2축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엔진 시스템은 그 기능성에서 우수함이 인정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두가티는 이 시스템을 가지고 전 세계의 모터 경기에서 그 성능이 최고임을 입증했다.
Ducati Monster
1993년에 처음 선보인 Ducati Monster는 미구엘 갈루치(Miguel Galluzzi)가 디자인 한 모델로 디자인의 혁신과 특이함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모델로 두가티 디자인의 우수성을 보여준 제품이라 하겠다.
Ducati 916
1997년 마시모 탐부리니(Massimo Tamburini)에 의해 디자인된 Ducati 916은 그 디자인과 기능면에서 가장 일반화되고 사랑 받는 모델로 ST시리즈의 경우 차체에 수납함을 장착할 수 있게 잘 설계가 되어 있어 장거리 여행에 매우 편리한 모델이라 하겠다. 이후 이 모델은 ST2(944cc 2축 실린더 수냉식)과 ST4(916cc 4축 실린더)등으로 발전되어 출시되었다.
Ducati 999
2002년에 출시된 Ducati 999는 그 동안 두가티의 명성을 이어온 916, 996, 998을 이어가는 모델로 처음 출전한 세계 모터사이클 경주에서 처녀 출전해 그랑프리를 차지하는 등 그 성능의 우수성을 모터사이클 경주에서 입증하였다.
Ducati 1098
999까지 이어지는 9시리즈 이후 처음 출시된 제품으로 1098, 1098 S 등으로 출시되었으며 기존의 4축 실린더에서 엔진을 2축 실린더로 바꾼 제품으로 160 마력을 자랑한다.
Monster 696
2008년 기존의 Monster 696을 대체하기 위해 출시된 제품으로 디자인을 새롭게 하였음은 물론 기능성을 높이는 등 모든 기능에 전자제어 장치가 들어가 있어 안전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다양한 디자인을 선보인 두가티는 디자인은 물론 Moto GP에서 다수 우승하면서 그 우수성이 세계에 알려지면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착한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미 리(Tommy Lee) 산업 디자이너 (0) | 2013.08.22 |
---|---|
모어 트리즈(More Trees) 전시회 (0) | 2013.08.21 |
인테리어의 메트리얼 변화(Material Variation) (0) | 2013.08.21 |
막심 벨초브스키(Maxim Velcovsky)의 크리스탈 크랜베리 (0) | 2013.08.21 |
벤자민 키칙(Benjamin Kicic) 가구 디자이너 (0) | 201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