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시초코렛 HUHSI chocolate

2차세계대전_秘事

무장친위대(Generaloberst der Waffen-SS)

chocohuh 2013. 2. 13. 12:57

무장 친위대(武裝親衛隊, Waffen-SS)는 나치 독일의 친위대(Schutzstaffel) 소속 무장 전투집단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육·해·공군에 이은 제4의 군대로 활약했다. 총사령관은 SS전국지도자 하인리히 히믈러 였으나, 전쟁 기간 중 전투 지휘는 국방군(Wehrmacht) 최고사령부(OKW)의 지휘를 받았다.

 

비록 첫 출발은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즉, 나치의 지도부를 경호하는 소박한 조직으로 출발했지만, 나중에 무장친위대는 90만 명을 상회하는 병력으로 구성된 38개 전투 사단과 기타 엘리트 부대를 갖춘 군대로 성장했다.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에서 무장친위대는 잔혹 행위에 가담한 것 때문에 범죄 조직으로 간주되었고, 무장친위대의 베테랑들은 다른 독일군 참전 군인들과 달리 군인으로서 많은 권리를 거부당했다. 그러나 다수의 징집병들은 독일 정부에 의해 무장친위대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범죄자 낙인에서는 제외되었다.

 

무장 친위대의 기원은 히틀러의 경호원으로 활동했던 200여 명의 선택된 그룹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이들 "경호원"들은 히틀러가 SA(Sturmabteilung)에 대한 통제가 쉽지 않자 만들어낸 것이었다. 돌격대(SA)는 너무 규모가 커져서 히틀러는 그에게 전적으로 충성하는 무장 경호대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 때문에 친위대(SS)가 창설된 것이다. 1923년 뮌헨 봉기의 실패로 투옥 생활(그리고 석방되고 나서) 후에 히틀러는 경호대의 필요성을 절감했고, SS의 지위는 나치 계층 내에서 공고해졌다.

 

1929년까지 여전히 SA가 나치당의 주요 물리력이었으나, SS도 서서히 성장하고 있었다. 1929년 1월, 히틀러는 하인리히 히믈러(이때 그의 계급은 SS제국지도자가 되었다.)를 맡겼고, 히믈러의 목표는 당 내에서 엘리트 군단으로 SS를 키우는 것이었다. 그러나 SS는 여전히 매우 작은 조직이었다. 그가 SS의 지휘권을 인수했을 때 총 대원수는 고작 290명에 불과했다. 히틀러는 1933년 즈음에는 효율적인 군대가 되기를 원했다. 히믈러는 지적 능력과 정치적 신념을 두루 갖춘 독일 사회의 엘리트를 대표하는 사람들을 SS로 임명했는데, 대개는 명예직이었다. 여기서 정치적 신념은 나치즘에 대한 동조 여부이며, 지적 능력은 인종주의에 대한 것이다.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히틀러는 SS를 1933년 말에 겨우 5만2천여 명으로 늘릴 수 있었다.

 

SS가 서서히 팽창하고 있던 같은 시기에 정권 장악 후 급격히 늘어난 SA의 총 대원수는 1933년 말에는 200만 명, 1934년에 전국적으로 400만 명을 헤아렸다. 히틀러의 오랜 동지였던 에른스트 룀이 지도하던 돌격대는 독일 국방군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으려던 히틀러의 시도에 위협이 되었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 정부 내에서 확고한 지위를 굳히는데 필요한 지원을 해주던 독일 보수파와 히틀러와 관계에도 위협이 되었다. 히틀러와 그의 추종자들이 계속해서 혁명은 끝났다고 경겨망동을 삼가하라는 경고를 내보냈음에도 불구하고 룀과 SA는 제2혁명을 주장했고, 사석에서 룀은 히틀러가 자신을 배신했다는 말도 내뱉는 상황이 되었다.

 

히틀러와 돌격대 사이에 위기감이 고조될 때, 히틀러는 SA의 행동에 대응하기로 결심했고, SS에 룀과 SA 고위 간부들을 제거할 것을 지시했다. 이것이 1934년 6월 30일 발생한 룀 숙청 사건(흔히 “장검의 밤 사건”이라고 불린다.)이다. 룀과 기타 SA 고위 간부들 뿐만 아니라 반나치 또는 나치당이면서도 히틀러에 반대한 인사들이 이때 같이 숙청되었다. 그레고어 슈트라서나 쿠르트 폰 슐라이허 같은 인물들은 SA와 관계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때 암살당한 사람들이다.

 

무장친위대의 사병, 부사관, 위관급 및 영관급 장교들의 계급은 모조직인 SS와 동일하다. 그러나 장성이 되면 명칭이 달라졌으며 한 사람이 두 종류의 계급 호칭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에서 보통 SS상급대장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는 Oberstgruppenführe는 SS(정확하게는 Allgemeine SS)의 계급이며, 무장친위대에서는 Generaloberst der Waffen-SS로 호칭한다. Generaloberst는 독일 육군에서 사용하던 계급 호칭이며, 여기에 der Waffen-SS라는 수식어를 덧붙인 것이다.

 

무장친위대의 확장을 계속 시도해온 힘러는 SS의 통제를 받는 외인부대 창설을 결심했다. 중세적 전승에 대한 기호로, 이 제국지도자는 "공산주의자 볼셰비키들의 위협으로부터 유럽을 구한다."는 명분의 십자군을 계획하였다. 종전 시점에서 무장친위대 병력의 약 60%는 독일인이 아니었다.

 

 

Logo-WaffenSS.jpg
독일 무장친위대 정규 사단
01 SS기갑사단 LSSAH 02 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03 SS기갑사단 토텐코프
04 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05 SS기갑척탄병사단 바이킹 06 SS산악사단 노르트
07 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오이겐 08 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09 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
10 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11 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노르트란트 12 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13 SS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 14 SS무장척탄병사단 (1 우크라니아) 15 SS무장척탄병사단 (1 라트비아)
16 SS기갑척탄병사단 SS제국지도자 17 SS기갑척탄병사단 괴츠 폰 베를리힝엔 18 SS의용척탄병사단 호르스트 베셀
19 SS 무장척탄병사단 (2 라트비아) 20 SS무장척탄병 사단 (1 에스토니아) 21 SS무장산악사단 스칸더벡 (1 알바니아)
22 SS의용기병사단 마리아 테레사 23 SS무장산악사단 카마 (2 크로아티아) 23 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네데르란트
24 SS 무장산악병사단 이탈리아 25 SS무장척탄병사단 훈야디 (1 헝가리) 26 SS무장척탄병사단 훙가리아 (2 헝가리)
27 SS의용척탄병사단 랑에마르크 28 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발로니엔 29 SS무장척탄병사단 (1 러시아)
29 SS 무장척탄병사단 (1 이탈리아) 30 SS무장척탄병사단 (2 러시아) 30 SS무장척탄병사단 (1 백루테니아)
31 SS의용척탄병사단 뵈멘 메렌 32 SS의용척탄병사단 1월 30일 33 SS무장기병사단 (3 헝가리)
33 SS 무장 척탄병 사단 사를마뉴 (1 프랑스) 34 SS의용척탄병사단 란트슈투름 네데르란트 35 SS경찰척탄병사단
36 SS무장척탄병사단 디를레방어 37 SS의용기병사단 뤼초 38 SS척탄병사단 니벨룽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