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시초코렛 HUHSI chocolate

무라카미하루키

실수에 대하여

chocohuh 2012. 12. 6. 11:28

직업적으로 글을 쓰게 되면서 가장 절실히 느끼는 것이 "사람은 반드시 실수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글을 쓰기 이전부터 일상적으로 이런저런 실수를 해왔기 때문에 이제 와서 새삼스럽게 이런 것을 절감할 필요도 없는 것 같기는 하지만 글을 쓰기 이전의 실수는 대개 "아- 미안 실수"로 해결된다. 상대방도 "이제 와서 할 수 없지"라며 끝낸다.

하지만 글을 쓰고 있으면 실수라는 것은 확실하게 뒤에 남게 되고 게다가 그 실수가 광범위하게 흩어지게 된다. 그 실수를 알게 되도 "아, 미안 실수"라고 독자 한사람 한사람에게 사과하고 다닐 수도 없다. 이런 일은 스스로 자초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상당히 골치 아픈 일이다. 그 대신 ―라고 말하는 것도 좀 뭐하지만― 나는 다른 사람의 실수나 잘못에 대해 꽤 관대한 편이 아닐까 생각한다.

다른 사람의 실언을 들먹이며 "야 너 그때 이렇게 애기했었지. 그렇지" 라며 시비를 거는 일은 우선 없다. 덕분에 십사년 간의 그럭저럭 평온한 부부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글에 있어 실수가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번역이다. 어째든 원문이 있기 때문에 나보다 어학실력이 나은 사람이 세밀하게 원문과 번역문을 대조해 보면 자잘한 실수라는 게 얼마든지 나오게 마련이다.

 

전에 가쯔시카(葛飾)구의 모리시다(森下)라는 분으로부터 엽서를 받았는데 "당신의 번역문 중에 'a couple of weeks'가 "2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2주간"의 잘못이 아닌가"하는 지적을 받은 것으로 이것은 정말로 누가 뭐라 해도 나의 실수이다. 죄송하게 생각한다. 그리고 창피스런 일이지만 "twenty one"을 "31"이라고 번역한 적도 있고 "bald"를 "bold"로 잘못 번역한 적도 있다. 어떻게 해서 이런 실수를 하게 되는 걸까 확실히는 모르겠다. 학생시절에 "사소한 실수가 많으므로 다시 한번 잘 살펴보도록"라고 쓰여진 답안지를 몇 번이나 받았는데 이런 성향이 나이를 먹어도 잘 고쳐지지 않는 것 같다.

 

하지만 이렇게 쓰는 것이 마치 변명 같아 죄송하지만, 하나의 문장, 하나의 단어를 정확하게 번역하기 위해 온종일 끙끙거리기도 한다는 것을 알아줬으면 한다. 그리고 이런 중요한 부분이 어찌 어찌해서 지나가고 비교적 평이한 부분에 이르게 되면 후-하고 안심하게 되어 쉬운 실수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물론 나중에 원문과 번역문을 몇 번이고 대조해 보지만 "이런 곳에서 실수할 리가 없다"는 생각에 몇 번 첵크를 해도 실수를 발견하지 못한다. 난감한 일이다. 생각하면 할수록 식은땀이 난다.

 

다른 사람에게 지적 당할 것도 없이 스스로 자신이 범한 오역을 나중에야 앗! 하고 깨닫는 경우가 있다. 밤에 이불 속에 들어가 불을 끄고 멍하니 있을 때 "아- 아니다. 그건 잘못이다!"라는 생각이 나서 벌떡 일어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주의부족으로 인한 실수보다는 훨씬 중요한 의미를 가진 실수일 경우가 많고 따라서 전자보다는 훨씬 식은땀의 양도 많다. 하지만 내가 저지른 수많은 주의부족 실수를 그것 나름대로 잔뜩 모아서 병리적으로 분석해 보면 상당히 재미있는 연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글에 국한되지 않고 나는 일상생활 전반에서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실수를 범하며 살고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소변이 마렵다"는 생각이 들어 화장실에 가려다가 실수로 욕실에 들어가 샤워를 하고 그냥 방으로 돌아와서는 "어, 이상하네. 아직 소변이 마려워. 몸 상태가 안 좋나"라며 의아해하는 경우가 일상의 다반사인 것이다. 이에 비한다면 'twenty one'을 '31'로 번역한 것도 그리 얼토당토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시간표나 전화번호의 편집자가 되지 않은 걸 천만다행으로 생각한다.

 

번역에만 국한하지 않고 지금처럼 자신의 글을 쓰고 있는 경우도 종종 엉뚱한 실수를 한다. 그러나 나의 경우는 데이터를 구사하며 논지를 펴는 형식의 글은 쓰지 않으며, 실존소설이나 논픽션도 쓰지 않기 때문에 이런 실수가 특별히 누구에게 상처를 주는 일은 없어 대개의 실수나 사실오인은 웃고 어물쩍 넘어가 버린다.

 

전에 쇼지마(昭島)시의 오카무라(岡村)라는 분으로부터 무라카미씨의 소설 중에 "폭스바겐의 라지에타"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것은 좀 이상한 것 아니냐는 투서가 모 잡지에 실렸습니다만 알고 계십니까 하는 편지를 받았다.

자동차에 관해서는 잘 몰라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았더니 확실히 폭스바겐 비틀에는 라지에타가 없는 것 같다. 실수인 것이다. 그러나 이것 때문에 내가 엎드려 고개 숙이며 사과하느냐 하면 그 정도는 아니고, 역시 웃고 어물어물 넘겨 버린다. 왜냐하면 이것은 소설이기 때문이다.

 

소설의 세계에서는 화성인이 하늘을 날아도, 코끼리가 작아져서 손바닥 위에 올라가도, 폭스바겐 비틀에 라지에타가 붙어 있어도, 베토벤이 제11번 교향곡을 작곡하고 있어도 이것은 조금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대로 말하면 "아- 그래. 이건 폭스바겐 비틀에 라지에타가 붙어있는 세계의 이야기니까!"라고 생각하며 소설을 읽어주면 정말 좋겠다.

그래도 역시 실수는 참을 수 없다는 정색을 하시는 분이 계시면 곧 나올 영어판 "pinball, 1973"에서는 이런 곳을 확실히 고쳐 놓았으므로 이것을 읽어 봐 주시기 바란다 ― 라고 딱 부러지게 선전해 버리곤 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