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우 데 자네이루(Rio De Janeiro) 올림픽 포스터 브라질 문화의 다양성을 상징하는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 사용한 포스터는 총 13장이다. 포스터 제작에는 브라질 출신의 아티스트 12명과 콜롬비아의 작가 1명이 참여하였다. 물고기, 바다 등 자연을 주제로 한 포스터가 가장 많았으며, 오륜 마크와 성화 등 올림픽 이미지를 활용한 것들도.. 착한디자인 2017.02.12
메트로 아키테토스 어소시아도스(Metro Arquitetos Associados) 건축 디자인 브라질 상파울루(Sao Paulo)에 위치한 오피스 겸용 주택은 1층과 그 위로 2층을 가로로 쌓아 두 개의 볼륨으로 구성하였다. 메트로 아키테토스 어소시아도스의 작품으로 1층은 식당, 거실, 두 개의 침실이 배치된 주요 주거공간과 두개의 욕실, 주방, 세탁실 등 물을 사용하는 긴 볼륨으로 함.. 착한디자인 2016.11.15
스튜디오 아르투르 카사스(Studio Arthur Casas)의 북 스토어 서점에 들어서면 눈앞으로 책의 무지개가 펼쳐진다. 제목이나 분야 대신 색에 따라 꽂힌 책들이 이루는 장관이다. 브라질 상파울로(Saopaulo)의 디자인회사 스튜디오 아르투르 카사스(Studio Arthur Casas)가 디자인한 사라이바(Saraiva) 플래그십 스토어 내 서점의 모습이다. 서점은 사라이바 스토.. 착한디자인 2014.09.30
브라질의 파다리에(Padarie) 카페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레(Porto Alegre)에 있는 개성이 넘치는 카페 파다리에(Padarie)를 소개한다. 따뜻한 감성이 느껴질 수 있는 원목 인테리어를 축으로 브라질의 강렬한 컬러를 이미지로 사용하였다.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 크리오 아키텍쳐(Crio Arquiteturas)의 디자이너 베르나르도 데 마갈레스.. 착한디자인 2013.12.20
휴고 프랑카(Hugo Franca) 가구 디자이너 브라질에서 활동하는 가구 디자이너 휴고 프랑카를 소개한다. 그의 가구 작품은 원목 그대로의 느낌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브라질은 도시 곳곳의 거리나 공원 등에서 마주치게 되는 나무의 크기가 남다르다. 내륙으로 갈수록 북쪽으로 갈수록 나무의 크기는 거대해진다. 휴고 프랑카는 .. 착한디자인 2013.11.18
프로듀토스 임페르페이토스(Produtos Imperfeitos) 전시회 브라질에서는 비라다 서스텐타벨(Virada Sustentavel)을 주제로 한 문화행사가 시작되었다. 상파울로에는 비라다 컬쳐럴(Virada Cultural)이라고 하여 이틀 동안 쉬지 않고 열리는 문화축제의 이벤트가 있다. 음악이나 미술 공연할 것 없이 문화에 속할 수 있는 모든 영역의 이벤트가 무료로 진행.. 착한디자인 2013.11.18
라투그(Lattoog) 디자인 스튜디오 브라질의 젊은 디자인 스튜디오 라투그는 디자이너 페드로 무그(Pedro Moog)와 레오나르도 라타보(Leonardo Lattavo)의 이름으로 만들어졌다. 비즈니스 행정을 전공한 페드로 무그는 1997년부터 무그 스튜디오(Moog Studio)를 운영하며 브랜딩, 제품디자인, 그래픽디자인 작업을 해 오다가 2004년부터 .. 착한디자인 2013.11.15
안드레 뮤니즈 곤자가(Andre Muniz Gonzaga) 아티스트 브라질에서 활동 중인 길거리 아티스트 안드레 뮤니즈 곤자가는 큰 바위, 허물어진 건물, 금이 간 표면 등 불완전하고 울퉁불퉁한 표면을 이용해 왜곡되고 때로는 이상하게 생긴 돌 초상화를 그린다. 브라질의 도시 지역중에 가난에 시달리는 빈민가를 선호하는 그의 작품은 그림을 둘러.. 착한디자인 2013.11.08
상파울로의 오렐려웅(Orelhao) 공중전화 스마트폰 시대인 오늘 날, 공중전화는 더 이상 사람들에게 중요하지 않은 존재가 되어 지고 있다. 많은 추억을 간직한 공중전화는 현재 그 존재감을 서서히 잃어가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예전의 기억을 더듬으며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여 40년 만에 상파울로 시내 공중전화기 색깔이 바뀌.. 착한디자인 2013.11.05
길레르메 마르코니(Guilherme Marconi) 일러스트레이터 브라질 출신의 세계적인 일러스트레이터 길레르메 마르코니는 자신의 작품에 대한 그녀만의 거칠고 컬러풀하며 혼돈스러운 접근방식에 대해 설명했다. 그녀가 말하는 정신분열 뇌는 자신의 크리에이티브 능력을 전달하는 수단이며 정확히 말하자면, 그녀의 크리에이티브 능력을 탈출.. 착한디자인 201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