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비교적 싫증을 잘 내는 성격이라 일 년 넘게 연재를 하는 법은 전혀 없는데, 이 칼럼은 일 년 예정이었던 것이 일 년 9개월이나 지겹게도 계속되었다.. 이 현상은 주로 안자이 미즈마루 씨의 삽화 덕분이다. 이번에는 옆에 어떤 그림이 그려질까 하고 생각하면, 자기도 모르게 만년필을 굴리고 마는 것이다. 그래서 '이번 주에는 뭘 쓰지? 쓸 게 없어서 어떡하지'하는 고민 없이, 매주 '자 자, 이번 회에는……'하는 기분으로 쓱쓱 써 나갔다. 고마운 일이다.
그리고 이 <일간 아르바이트 뉴스>라는 잡지가 주로 젊은 층에게 읽히고 있다는 점도, 나로서는 꽤 도움이 되었다.
나는 벌써 허리 부근까지 중년이란 늪에 눅진하게 잠겨 버린 인간이라(주: 미즈마루 씨는 가슴 언저리까지) 새삼스레 젊은이들에게 아첨을 할 생각은 없지만, 그래도 젊은이들을 향해 무언가를 쓸 수 있다는 건 즐거운 일이다.
물론 젊으니까 좋다, 젊으면 좋다는 게 아니고. 젊은 세대에게는 또 젊은 세대 특유의 오만함이나 특유의 무신경함이 있어 종종 진저리를 치기도 한다. 하지만 젊은이들의 오만한이나 무신경은, 그것만으로 독립적 기능을 할 뿐 다른 어떤 권력에 직접 연결돼 있지 않은 만큼 젊은이들을 상대하면 안심이 되는 것이다. 내 나이쯤 되면, 이미 여러 분야에서 사회적 권력을 거머쥐기 시작한 사람들이 있으니 말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원성을 들을지도 모르니 입 다물겠지만.
젊은이를 상대로 일 년 9개월 동안 이 칼럼을 잡담 반, 세상 얘기 반으로 꾸며 왔다. 젊은 세대를 향한 메시지라든가, 제안이나 불평 같은 것은 특별히 없다.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나이를 먹기 바란다. 나도 그런 식으로 그럭저럭 보통 사람 대열에 낄 수 있는 중년이 되었으니까.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