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태어나서 지금까지 선거 때 투표란 걸 한 적이 한 번도 없다. 왜냐고 물어도 한마디로 제대로 대답할 수 없어서 "글쎄, 어째서일까요" 하고 어물어물 넘기고 마는데, 좌우지간 투표는 안 한다. "그건 국민의 권리를 포기하는 거 아니야?" 하는 소리를 들으면, 아마 그럴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투표는 안 한다. 정치적 관심이나 의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투표는 안 한다.
얘기에 따르면 그리스 같은 나라에서는 선거 때 투표하는 것을 국민의 의무로서 법률로 정해 놓았고, 명백한 이유도 없이 기권을 하면 모든 시민권을 박탈하기도 한다지만, 일본에서는 그런 일이 없으니까 투표를 하지 않아도 일단 평범하게 살아갈 수 있다. 어느 쪽이 제도로서 타당한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겠지만, 나는 개인적으로는 일본의 방식이 좋다고 생각한다. 투표를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투표를 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살고 있으니까. 내 주변에도 선거 때 투표하지 않는 사람들이 꽤 있다.
어째서 선거 때 투표를 하지 않는가에 대한 그들(나를 포함해서)의 이유는 대체로 비슷하다. 첫째로 선택할 수 있는 대상의 질이 너무 떨어진다는 것, 둘째로 현재 행해지고 있는 선거의 내용 자체가 매우 수상쩍은 데다 신뢰감을 품을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 세대에는 '가두시위' 경험을 지닌 사람들이 많고, 시종일관 "선거 따윈 기만이다"라는 선동을 믿어 왔으므로, 나이를 먹고 제법 안정이 되었어도 고분고분하게 투표소에 가질 않는 것이다. 정당의 선거 운동과는 무관하게 한결같은 신념으로 지내 왔다는 생각도 든다. 넌 그때 뭘 했는데 하고 물으면, 무얼 했는지를 거의 기억할 수 없지만 말이다.
무엇보다 선거 그 자체를 근본적으로 부정하고 있는 건 아니므로, 뭔가 명확한 쟁점이 있고, 현재의 정당들이 하고 있는 선거 운동의 도식 같은 게 없어진다면 우리는 투표를 하러 가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 번도 그런 경우는 없었다. 기권이 많은 것은 민주주의의 쇠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데, 나는 그런 경우를 제공할 수 없었던 사회 시스템 그 자체 속에 민주주의 쇠퇴의 원인이 있다고 본다. 원칙론을 앞세워 기권자에게만 책임을 지우려 하는 건 잘못일 것이다. 마이너스 4와 마이너스 3 중 한쪽을 선택하기 위해 투표소까지 가라고 해봤자, 난 안 간다, 그런 데는.
지바에서 살았을 때 지방 선거가 있었다. 내가 마당에서 고양이와 놀고 있는데 동네 반장 격인 아줌마가 밭에서 갓 뽑은 시금치를 들고 와서는, "저기 말이죠, 이 근처 사람들은 모두들 아무개 씨한테 투표를 하기로 결정했어요"라고 했다.
내가 잘 이해를 못하고 "네에, 그렇습니까?" 하자 그 아줌마는 "아무개 씨한테 표를 던지면 도로 정비라든가 하수구 청소 같은 문제를 해결해 준대요."라고 말하며 시금치를 두고 돌아갔다. 내가 그것이 투표 의뢰라는 걸 안 것은 얼마 지나서였다. 그때는 허참, 과연 지바로구나 하고 감탄했었다. 나는 여러 지방에서 살아 봤지만 시금치로 투표 의뢰를 받은 곳은 지바 말고는 없었다. 물론 시금치는 맛있게 먹고, 투표를 하러 가지는 않았다. 나야 꼬박꼬박 세금을 내고 있으니까 하수구 청소 같은 건 해주는 게 당연하다. 경험상으로도 아무개 씨에게 투표를 하기보다는 매일 시청에 전화를 걸어 불편을 호소하는 게 빠르고, 올바른 절차다. 이런 일이 있으면 투표를 하러 가기가 더더욱 싫어진다. 지바에서 사는 것 자체는 무척 즐거웠지만 말이다.
그러나 내가 이대로 투표를 한 번도 하지 않고 일생을 마치고 말 것이냐 하면, 절대 그런 건 아니다. 이것은 단순한 나의 직감에 지나지 않지만, 금세기 중에 반드시 다시 한 번 중대한 정치의 계절이 돌아오지 않을까 하는 예감이 들기 때문이다. 그때 우리는 싫어도 스스로 입장을 정해야만 할 것이다. 다양한 가치관들이 철저하게 전환되어, '무엇이든 적당히'로는 끝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나 역시 영화 <빅 웬즈데이>의 라스트 신처럼 투표용지를 손에 들고 투표소로 향하게 될지 모른다.
뭐 이건 단순한 예측일 뿐이고, 내가 하는 예측의 대부분은 빗나가니까 대수롭지 않은 얘기지만, 하여튼 그런 상황이 머지않아 닥쳐올 것 같은 기분이 자꾸 든다. 이것은 1920년대의 미국과 그에 뒤따른 대공황에 관한 역사서를 읽어 보면 오싹할 만큼 피부로 느껴지는 일이다. 미증유의 번영과, 화려하고 호화로운 문화를 구가하던 1920년대의 미국은 하루아침에 와해되고, 그 후로는 어둡고 무거운 나날과 전쟁이 찾아온다.
물론 서로 다른 두 시대와 사회를 포개어 놓고 보려는 생각에는 근본적으로 무리가 있지만, 경제적 번영의 밑바탕이 얄팍한 점이나 흥청망청 대는 사회의 분위기, 그리고 세계적인 부의 편중 상황을 보고 있으면 1920년대의 미국과 현시대 사이에서는 소름이 끼칠 정도로 수많은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저 대공황에 필적하는 크래시(붕괴)가 닥친다면, 당시의 미국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방만한 문화 주변에 기생하며 살아가고 있는 인사들 대부분은-어쩌면 나도 그중 한 사람인지 모르겠지만-흔적도 없이 어디론가 날려 가버릴 것이 눈에 훤하다.
내가 이런 말을 해봤자 별 설득력이 없겠지만, 우리는 이제 슬슬 그러한 크래시=가치 붕괴에 대비하여 스스로를 재확인해야만 할 시기에 이르렀는지도 모르겠다.
'무라카미하루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신 남성이란 (0) | 2021.04.13 |
---|---|
여자에게 친절 베푸는 일에 관하여 (0) | 2021.04.13 |
골동품 가게 기담 (0) | 2021.04.07 |
새하얀 거짓말 (0) | 2021.04.07 |
기차에서 혼자 여행하는 여자를 만날 때 (0) | 2021.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