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시초코렛 HUHSI chocolate

착한디자인

보 트롱 니아 아키텍츠(Vo Trong Nghia Architects)

chocohuh 2014. 6. 25. 10:41

베트남(Vietnam) 호치민(Hochiminh)시 탄 빈(Tan Binh)에는 나무가 울창한 숲을 가진 건축물이 있다. 보 트롱 니아 아키텍츠의 디자이너 마사키 이와모토(Masaaki Iwamoto)와 코슈케 니시지마(Kosuke Nishijima)가 설계한 하우스 포 트리(House For Trees)가 그것이다. 이 주택은 2014년 영국의 건축 잡지 아키텍쳐럴 리뷰(Architectural Review)가 주최하는 공모전 AR 하우스 어워드(AR House Awards)에서 1등을 수상하였다.

 

 

 

 

급속한 도시화에 따라 베트남의 도시들은 숲이 우거진 열대 우림 지역이었던 원래의 모습과는 다르게 변해가고 있다. 호치민 시는 도시 전체의 0.25%만이 녹지로 덮여 있다. 그로인해 도시에 사는 새로운 세대들은 자연과의 접촉 기회를 상실해 가고 있다. 보 트롱 니아 아키텍츠가 이러한 추세를 역전시키기 위해 진행 중인 사업의 일환으로 15만 달러의 빠듯한 예산으로 진행한 프로토타입의 주택이었던 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도시 안으로 녹지 공간을 되돌려 주는 것이었다.

 

이 집은 각기 다른 구조를 가진 다섯 개의 콘크리트 상자 위에 나무를 심기 위한 화분을 얹어 놓은 듯한 구조로 되어있다. 콘크리트 화분, 두꺼운 토양층, 그리고 식물로 이루어진 시스템 덕분에 홍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우수 체수지 같은 숲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 미래 지향적인 주택의 요소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옥상에 심은 나무로는 땅속의 뿌리가 적고, 많은 공기를 뿜어낼 수 있는 건물의 녹화에 적합한 뱅골 보리수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토양, , 나무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베트남 주택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은 내력벽 구조가 사용되었다.

 

주변부로는 방범과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기 위해 창문은 조금 내고, 안마당 쪽으로는 채광과 환기를 극대화하기 위해 창문을 크게 내어 안마당 주위로 배치하였다. 나무 그림자의 그늘 공간은 정원의 일부가 된다. 내부와 외부 공간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는 이들 안마당과 정원은 자연과 공존하는 열대의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세 명의 가족을 위해 2층 규모로 지어진 이 집들은 종교실이 배치된 입구의 가장 작은 채만 단층이고, 아래층에는 식당이나 서재와 같은 공용공간을, 위층에는 침실 및 욕실과 같은 보다 사적인 공간을 배치하였다. 각 채의 2층을 연결하는 철재 브리지가 1층의 각 건물들을 연결하는 통로가 되고 있다.

 

 

 

 

내부 벽돌과 외부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통기공간이 열전달을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 온도가 유지되도록 도와주고 있다.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건축비를 낮추기 위해 지역에서 쉽게 조달할 수 있는 천연 재료가 많이 사용되기도 했다. 외벽은 대나무 거푸집을 이용하여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시공되었으며, 마감 재료를 최소화하기 위해 천장은 콘크리트를 그대로 노출시켰고, 내부 벽면 역시 베트남에서 가장 저렴한 재료의 하나인 지역 생산 벽돌을 그대로 노출시킨 채로 마감하였다.

 

 

 

 

 

 

http://www.votrongnghia.com/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