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친환경에 부합한 전기자동차로 럭셔리 모던 아트라는 컨셉을 병합해 새로운 이탈리아 자동차 디자인을 선보인다는 것이 이번에 선보일 컨셉카 캄비아노의 특징이다.
요즘들어 이탈리아 경기가 저공 행진을 하면서 경제적인 부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에서일까 이탈리아 자동차 산업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토리노에 많은 변화의 바람이 일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중국 자본을 유입한 자동차 디자인 업체들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특히 이탈리아의 경우 디자인에 있어 자국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제 경쟁력을 키워왔으나 소규모 위주의 자동차 디자인 업체들이 경영난을 겪으며 중국 자본에 넘어가고 있어 그 명맥이 계속 이어질 수 있을까하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중국자본가들은 거액을 들여 기존 이탈리아 디자이너들을 영입하고 있어 내부적으로는 중국자본을 토대로 한 디자인 산업이 향후 미래에 대한 확신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꺼리고는 있으나 현재의 경제적 어려움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행보는 계속해서 나타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때에 친환경 디자인과 새로운 기술력을 접목해 새로운 스타일의 디자인을 꾸준히 시도하고 있는 피닌 파리나는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캄비아노를 통해 기술력은 물론 디자인의 우수성을 알리려 하고 있다.
다음 내용은 이탈리아 일간지 Corriere에 실렸던 피닌 파리나의 디자인 디렉터 인터뷰 내용이다. 이 내용을 살펴보며 이탈리아 디자인의 차별화와 피닌 파리나의 디자인 철학을 엿보도록 하자.
이번에 새롭게 소개하는 캄비아노에는 그 동안의 피닌 파리나가 보여준 스타일, 기능성, 아름다움이 베어 있습니까?
디자이너 피닌 파리나가 처음 디자인을 시작했을 때와 같은 디자인 철학(엘레강스, 혁신, 순수)등을 기본으로 해 캄비아노가 탄생 되었으며 이러한 컨셉은 현재를 넘어 미래에도 이어질 것입니다.
왜 스포츠카가 아닌 스포츠 세단인지요?
제 생각에 미래에는 스포츠 세단이 시장을 주도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1957년에 Lancia사를 위해 디자인 한 컨셉 럭셔리 스포츠 세단 Florida II를 제안한 후 전 세계적으로 세단형 모델이 대중화 된 것을 보았을 때 향후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주력 제품군이라 생각합니다.
무공해 자동차의 탄생과 전기엔진 등으로 인해 디자이너로서 창작의 어려움은 없는지요?
디자이너로써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다는 것은 형태에 있어 새로운 접근을 줄 수 있는 행운이라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캄비아노에서 사용한 엔진의 위치 및 밧데리의 형태로 인해 이번에 디자인한 컨셉카는 바닥이 완벽하게 평평하게 할 수 있는 등 디자인에 있어 많은 변화와 장점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캄비아노의 경우 디자인에 있어 어떤 부분이 특징이라 할 수 있을까요?
외형 디자인의 간결함이라고 할 수 있겠다. 절제된 선의 사용과 미니멀한 외형이 주는 세련됨이 디자인의 고급스러움을 더욱 더 돋보이게 해준다. 특히 전조등, 휠, 천정 등의 다양한 소재 및 디자인이 특징이라 하겠습니다.
전기자동차의 탄생으로 소비자들이 자동차를 전자제품으로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변화가 디자인에 끼치는 영향이 있습니까?
자동차가 갖는 고유의 의미가 있으므로 이러한 생각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친환경 자동차가 나옴으로써 환경보호에 도움이 되는 것이지 자동차 자체가 주는 감동은 동일하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자동차가 갖는 디자인, 특히 피닌 파리나가 가지고 있는 고급스러움과 아름다움은 소비자들에게 더 큰 감동을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캄비아노가 주는 디자인적 감동은 외형 뿐 아니라 인테리어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주었다고 생각하는데 인테리어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은 무엇입니까?
캄비아노는 내, 외관적 디자인을 모두 고려해 탄생한 디자인으로 디테일에 있어 그 세심함이 느껴지는 것은 물론 색상, 재료, 기술 등이 잘 조화를 이룬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실내 인테리어가 갖는 고유의 특징인 편안함과 편리성을 잘 고려하였으며 천정의 투명 소재는 실내에 충분한 채광을 제공해 줍니다.
위의 내용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친환경 자동차의 탄생은 자동차 디자인은 물론 우리의 생활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이유에서 일까. 앞으로 다가 올 미래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디자인의 변화가 사뭇 기대된다.
'착한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피(Miffy)의 뉴 하우스(New House) (0) | 2013.04.22 |
---|---|
패션 히오(Fashion Rio+)의 디자인 (0) | 2013.04.19 |
비트라 텔레폰플랜(Vittra Telefonplan) 스웨덴(Sweden)의 교실 없는 학교 (0) | 2013.04.19 |
덴마크 모래사막의 시티 듄(City Dune) (0) | 2013.04.19 |
쇼핑몰(Shopping Mall)의 디자인 마케팅 (0) | 201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