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시초코렛 HUHSI chocolate

착한디자인

스칸디나비아(Scandinavia) 디자인의 재조명

chocohuh 2013. 3. 25. 14:28

국가 경쟁력에서 제품디자인이 곧 국가브랜드의 가치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 인식이 바뀌고 있어 사회 및 경제적 기여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우수한 제품으로 개발해 낼 수 있는 디자이너의 역량이 갈수록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다.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2024년도 세계 100대 브랜드를 보면 1위 APPLE 4,889억 달러, 2위 MICROSOFT 3,525억 달러, 3위 AMAZON 2,981억 달러, 4위 GOOGLE 2,913억 달러, 5위 SAMSUNG 1,008억 달러, 6위 TOYOTA 728억 달러, 7위 COCACOLA 612억 달러, 8위 MERCEDES BENZ 589억 달러, 9위 MCDONALDS 530억 달러, 10위 BMW 520억 달러로 나타났으며 이번 평가에서 30위권의 아시아 기업은 삼성, 도요타, 혼다, 현대 뿐이였다. 혼다는 26위(267억 달러), 현대는 30위(230억 달러), 기아는 86위(81억 달러)를 했다.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브랜드

 

볼보, 사브, 이케아, 뱅엔올룹슨, 일렉트로룩스, 레고, 노키아... 이 브랜드들은 각각 자동차, 생활가구, 고급오디오, 가전제품, 장난감, 휴대폰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브랜드 들이다. 그런데 이들 브랜드 사이에는 공통요소가 있다.

 

첫째 품질과 더불어 특히 디자인이 매우 뛰어나다는 점이다.

둘째 이 브랜드들이 태어난 곳이 스칸디나비아 지역이라는 것이다.

볼보, 사브, 이케아, 일렉트로룩스는 스웨덴에 뱅엔올룹슨과 레고는 덴마크에 노키아는 핀란드에 본사가 있다. 다시말해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 그 뿌리를 두고 세계로 뻗어 나갔다는 공통점이 있는 셈이다.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의 특징은 단순미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등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한 북유럽 지역 국가에서는 공통되는 디자인 경향이 있다. 군더더기 없이 단순하고 깔끔한 형태와 높은 실용성 그리고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은 자연미로 대표된다.

 

 

스칸디나비아 지역 사람들의 민족성이 실용적인 것을 좋아하는데다 사회적인 배려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 누구나 쓸 수 있도록 제품의 기능성을 강조하는 전통이 생겼으며 예전부터 수공예가 발달해 소재나 디자인을 새롭게 시도해보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었다. 또한 호수, 빙하, 나무가 많아 이 같은 자연환경이 제품디자인에도 반영되었으며 겨울에는 밤이 길어 실내생활을 많이 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실내 인테리어에 많은 신경을 쓰고 가구, 가전처럼 실내에서 자주 쓰는 제품의 디자인이 발달하였다. 또한 질리지 않고 오래 쓸 수 있는 디자인을 중시하는 경향이 생겼다는 것과 급변하는 트렌드에 싫증이 난 사람들이 자연을 소재로 하고 장인의 손맛이 담긴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이라고 생각된다.

 

 

북유럽 국가들은 디자인을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여 적극적인 지원책을 펴고 있다. 덴마크 정부는 현재 20%대인 디자인 산업의 수출 비중을 30%대로 끌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디자인 교육과 지적 재산권 보호, 브랜드 육성 등을 통해 디자인 경쟁력을 높여 해외에서 덴마크 제품이 잘 팔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국립 덴마크 디자인스쿨에서는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기능적으로 왜 그런 형태가 필요한지 원리와 기본 개념부터 이해하는 훈련을 받는다고 한다.

 

북유럽 디자인이 간결하고 단순해 보이지만 그 속에는 철저한 분석 결과와 수많은 고민의 흔적이 담겨 있으며 오래 사용해도 질리지 않는 미학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현재와 미래를 위한 제품디자인은 국가브랜드를 대표할 수 있으며 한 나라의 국가 이미지를 동반 상승시킬 수 있는 좋은 요소이다. 누구나 쉽게 쓸 수 있으며 간결한 디자인을 강조해야 하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에 의한 미래 소비자의 요구를 예측하고 미리 준비하는 절제미와 그리고 전통의 유지와 개성을 강조하는 두 조건의 결합은 최근 소비자의 입맛에 맞춰진 굿 디자인으로 탄생되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