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시초코렛 HUHSI chocolate

착한디자인

미셔 트랙슬러 스튜디오(Mischer Traxler Studio)의 툴 키트 콜렉션

chocohuh 2014. 11. 14. 09:04

오스트리아 빈에서 활동하는 미셔 트랙슬러 스튜디오(Mischer Traxler Studio)가 이번 이스탄불 디자인 비엔날레(Istanbul Design Biennial)에서 신작을 선보였다. 디자이너 듀오인 카타리나 미셔(Katharina Mischer)와 토마스 트랙슬러(Thomas Traxler)가 선보인 작품은 엄밀히 말해 제품 겸 툴 키트(Tool Kits). 바로 그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안내서가 겸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미셔 트랙슬러가 선보인 담요와 스케치북은 지식 도구 기억(Knowledge Tools Memory)이라는 이름의 콜렉션을 여는 첫 제품이다. 이 콜렉션에서 미셔 트랙슬러는 제품과 그것의 제작 도구 두 가지를 함께 선보일 것이다.

 

 

 

 

 

 

 

 

 

매일 사용하는 물건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카타리나 미셔와 토마스 트랙슬러는 만일 그 물건이 제작되는 과정을 알게 되면 그 물건에 대한 가치 인식이 달라질까를 질문한다. 일상 제품은 제 역할을 하기 위해 존재하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또한 물건은 자신의 역사와 과거를, 또 자신이 언제 어디에서 만들어졌는지와 같은 측면을 이야기해준다. 바구니 직조 기계에서 야채로 모양을 뜬 그릇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이들이 만든 담요는 울 소재로 몸을 완전히 덮을 만큼 넉넉하다. 담요에는 15가지 다이어그램이 프린트되어 있는데, 양털 깎기에서 울을 만들기 위한 섬유 꼬기와 직조 방법까지 담요의 천이 만들어지기까지 그 제작 단계를 하나하나 설명해준다. 담요 아래로 별도의 천이 있고, 주머니들이 줄지어 있다. 양모 빗에서 양털 깎이용 가위 등 도구를 수납하는 곳이다.

 

 

 

 

 

스케치북 한 권도 콜렉션의 일부이다. 실로 제본하고 레이저 각인 표지를 지닌 스케치북에는 식물 섬유로 종이를 만드는 방법이 그려져 있다. 펄프 용액을 체에 걸러 종이를 만들 수 있도록 설명과 도구가 함께 들어 있다.

 

담요든 스케치북이든 어떤 제품에도 별도의 장식이 없다. 그래픽 디자이너 브리기테 회플러(Brigitte Höfler)가 그린 안내용 일러스트레이션이 유일한 장식이다. 장식이 곧 안내서이니 그런 의미에서 실용적이다. 이 프로젝트로 각자의 능력을 다시 생각해보고, 또 모두에게 기본적인 물건을 만들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려 하였다.

 

 

미셔 트랙슬러의 프로젝트에서 제작과정은 때로 결과물에 앞선다. 이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 과정이 제품의 배후에 숨는 대신 제품의 면면에 그대로 드러난다. 이번 신작도 예외는 아니다. 미셔 트랙슬러는 2013년 또 다른 영토(Another Terra)라는 이름의 전시에서 담요를 선보인 바 있다. 스케치북은 지식 도구 기억 콜렉션의 두 번째 오브제로, 이번 이스탄불 디자인 비엔날레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두 사람은 앞으로 더 많은 제품을 콜렉션에 더할 계획이다.

 

http://www.dezeen.com/2014/11/04/mischertraxler-knowledge-tools-memory-blanket-sketchbook-tool-kits-instructions-istanbul-design-biennial-2014/?utm_source=feedburner&utm_medium=feed&utm_campaign=Feed%3A+dezeen+%28Dezeenfeed%29

http://www.mischertraxler.com

http://www.designdb.com/d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