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 템즈(Thames)강에 해머스미스(Hammersmith) 다리에 한 노인이 출몰하곤 했다. 어둠을 틈타 노인이 무언가를 강물에 던져버리는 밤이 이어졌다. 그는 도브스 출판사(Doves Press)의 공동 설립자인 토마스 제임스 콥든 샌더슨(Thomas James Cobden Sanderson)이었다.
1899년 T. J. 콥든 샌더슨과 에머리 워커(Emery Walker)가 함께 설립한 도브스 출판사는, 밀튼의 실낙원, 성경 등을 출판하며 상당한 명성을 얻고 있었다. 이코노미스트의 표현을 빌리면, 도브스 성경의 창세기 첫 장은 출판 역사상 가장 유명한 페이지 중에 하나로 손꼽힐 정도다. 그 모든 책에 쓰인 활자가 바로 도브스다. 도브스의 책들이 현대의 북 디자인에 미친 영향력에서, 도브스 서체의 몫을 따로 떼어 생각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콥든 샌더슨과 워커의 동업 관계가 악화하면서, 도브스 활자가 희생물이 되었다. 동업이 깨지고 출판사를 정리한 뒤, 콥든 앤더슨은 도브스 활자의 모든 것을 템스강에 수장했다. 자신이 아닌 그 누구도 도브스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려는 파괴적인 애정의 결과였다. 어찌나 철저히 내버렸던지, 도브스 활자는 단 한 조각도 발견되지 않았고, 그렇게 도브스는 책 속에만 남게 되었다.
도브스 출판사의 성경 첫 페이지 1903년~1905년
원 활자가 모두 사라진 상황에서, 남아 있는 활판 인쇄물만을 가지고 서체를 되살려내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하지만 로버트 그린(Robert Green)이 3년의 노력 끝에 도브스 서체를 디지털 폰트로 부활시켰다. 본래 100자 정도로 이뤄졌지만, 이번 디지털 판본에서는 @ 등 당대에는 없던 심볼과 기호가 더해져 350자 정도로 늘어났다고. 본래 도브스는 오늘날로 말하자면 16포인트 정도의 한 가지 크기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번 디지털 판본에서는 다양한 크기를 제공한다.
전설적인 서체 도브스의 부활과 관련된 상세한 이야기를 이코노미스트 기사에서 만나볼 수 있다. 한편 로버트 그린이 되살려낸 더 도브스 타이프는 오픈타입 OTF 포맷으로 제공되며, 아래 타이프스펙(Typespec)에서 판매 중이다.
'착한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티아고 칼라트라바(Santiago Calatrava) 건축 디자이너 (0) | 2014.03.05 |
---|---|
데이비드 데르크센(David Derksen) 아티스트 (0) | 2014.03.05 |
벤자민 페르묄런(Benjamin Vermeulen) 가구 디자이너 (0) | 2014.03.04 |
러쉬(Lush)의 보자기(Knot Wrap) 패키지 디자인 (0) | 2014.03.04 |
피르나트 코비노파사르스트보(Pirnat Kovinopasarstvo) 제품 디자이너 (0) | 201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