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의 교육은 유명합니다. 이는 핀란드가 가진 소프트파워(Softpower) 중 하나로 이미 매우 강력한 국가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많은 다른 나라에서 핀란드의 교육 시스템을 배우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미 아랍 에미리트 아부다비(Abu Dhabi)에서는 핀란드의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핀란드 학생들은 OECD 국가에서 15세 학생들을 상대로 매 3년마다 치러지는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 (PISA)에서 항상 최 상위권을 차지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핀란드 건축 박물관은 이러한 현상을 건축물에 촛점을 맞추어 "어떠한 물리적인 환경이 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까?" 라는 질문을 던지고 이를 토대로 기획전시를 열었다.
이 전시의 중심은 2010년도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 발표, 전시되었던 핀란드의 7개 학교에 관련한 내용이었다. 이 7개 학교들은 21세기 핀란드를 대표하는 학교 건축물로 선정되어 "The Best School in the World"라는 책에 자세한 보충 자료와 함께 실렸다. 이 전시에서는 건축물의 외형보다는 실로 이 건물들이 그 안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력을 줄 수 있는지에 촛점을 두었다.
Strömberg School, Helsinki, 2001년. Kari Järvinen and Merja Nieminen Architects SAFA
Viikki Teacher Training School, Helsinki, 2004년. ARK-House Architects
Hiidenkivi Comprehensive School, Helsinki, 2005년. Häkli Architects
Sakarinmäki School and Day Nursery, Helsinki, 2006년. FLN Architects
Comprehensive School in Joensuu, 2007년. Lahdelma & Mahlamäki Architects
Kirkkojärvi School, Espoo, 2010년. Verstas Architects
Enter Upper Secondary School and Vocational College, Sipoo, 2007년. K2S Architects
위의 7개 학교 중 한 예로, 헬싱키에 위치한 건축회사 K2S가 만든 Upper Secondary School and Vocational College인 IT 학교 Enter는 헬싱키에서 조금 떨어진 도시 Sipoo에 위치하고 있다. 이 학교를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ㄱ"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안쪽 면은 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안쪽 곡선 면은 도심을 바라보고 있는데, 특이 사항은 그 면이 전부 유리로 되어 있어서 사실상 학교가 그 지역 커뮤니티에 개방되어 있다는 점이다. 학교에 있는 동안 학생, 선생님들은 학교 외부를 바라볼 수 있고, 그 지역 주민들 역시 학교의 학생, 선생님들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학교는 이렇게 열린 건물 속에서 학생과 선생님 간의 관계, 학교와 지역 사회와의 관계를 이해, 성립하여 보다 넓은 시각으로 수업의 내용과 방향을 모색해 가며 현시대의 핀란드 학교를 대표할만한 긍정적인 환경을 만들었다.
Enter Upper Secondary School and Vocational College, Sipoo, 학교 내부
올해 초, 알토대학 미술대학(Aalto Univ. School of Art & Design)의 산업과 전략디자인학과(Industrial and Strategy Design)가 위치한 8층에서 작지만 큰 공사가 있었다. 각 학과의 교수님, 강사님들은 학생들과 같은 층에 각자의 방을 따로 갖고 있는데, 이것마저 학생과 선생님 간 소통의 장애를 만든다며 학과장의 주도로 모든 교수님, 강사님 방의 벽을 허물어 하나의 큰 공간으로 만들고 시멘트 벽 대신 유리로 벽을 만들어, 말 그대로 안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합동교수실로 만들었다. 이로써 학생들은 복도를 지나다니며 언제든 자신이 대화하고자하는 선생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 시 부담없이 출입할 수 있는 열린 환경을 만들었다.
학교는 학생, 선생님, 사회의 기대와 요구가 교차하는 매우 복잡한 공간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교에서 받는 교육의 질은 단순히 수업 내용으로만 평가될 수는 없을 것이다. 배우는 이와 가르치는 이, 또한 그 바깥세상 사이의 자유로운 소통이 넓은 시각과 창의적인 사고로 이어짐에 개방된 환경이 갖는 의미는 배우 큽니다.
'착한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스 디자인 스튜디오(Qubus Design Studio)의 글라스(Glass) 디자인 (0) | 2013.04.24 |
---|---|
자니니 데 자니네(Zanini de Zanine) 가구 디자이너 (0) | 2013.04.24 |
초코렛 로즈비임세(Rozbijimse) 프로젝트 (0) | 2013.04.24 |
트랜스포밍(Transforming) 모터카 (0) | 2013.04.24 |
바나나 파크(Bananna Park)의 공간 디자인 (0) | 2013.04.24 |